2025-08-27
IT융합전공 및 차세대반도체학과 통합 개설 교과목 목록 및 학점 인정 관련 안내
아래 교과목은 IT융합전공과 차세대반도체학과 간 통합 개설 교과목으로,양쪽학과 개설 교과목 모두 IT융합전공 주(다)전공 및 차세대반도체학과 다전공 학점으로 인정됩니다. 수강 계획 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대상 교과목 2. 학점 인정 관련 안내 가. 양쪽학과에서 개설된 교과목 모두 차세대반도체 혁신융합대학사업단 교과목에 해당되며,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학점으로 인정 가능합니다. 나. 양쪽학과 중 어느 학과 개설 교과목을 수강하더라도, - IT융합전공 주전공 또는 다전공, - 차세대반도체학과 다전공(부전공/복수전공/연계전공/융합전공/심화전공) 학점으로 인정 가능합니다. 다. IT융합전공 소속이면서 차세대반도체학과 다전공(부전공/복수전공/심화전공)을 이수 중인 학생이 해당 교과목 수강 시, - 성적증명서 및 이수구분별 성적표상에서 주전공(IT융합전공) 학점으로 우선 인정됩니다. - 차세대반도체학과 다전공 학점으로의 인정 희망할 경우, 졸업예정학기에 이수구분 변경 신청을 통해 조정 가능합니다. (IT융합전공 주전공 학점 → 차세대반도체학과 다전공 학점) 3. 문의 02-829-8224/6, disu@ssu.ac.kr...
2025-08-26
[AnalogAI] 재직하며 석박사학위취득! 차세대 AI 반도체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AI 시대에 꼭 필요한 실무 경험과 학위、정말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할까요? 아닙니다. 이제 커리어와 학업을 동시에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AnalogAI Advanced Degree Partnership Program (ADP Program)은 재직 중인 직원이 회사 업무와 병행하며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입니다. 혜택 1 : 학업 지원 ★ 학비 대여 : 석/박사 과정 등록금 대여 후 조건 이행 시 상환 면제 연구활동비 대여 : 논문 작성, 실험비용, 장비 사용료 등 대여 지원 학회 참가비 대여 : 국내외 학회 발표 및 참석 비용 대여 지원 연구 시간 보장 : 근무시간과 학업시간의 효율적 배분 혜택 2 : 경제적 혜택 $ 급여 지급 : 학업 중에도 정규직으로서 급여 지급 성과급 및 인센티브 : 연구 성과에 따른 추가 보상 스톡옵션 : 회사 성장 가치 공유 혜택 3 : 커리어 발전 ♣ 전문성 강화 : AI 반도체 분야 최고 전문가로 성장 네트워킹 : 대학교 및 업계 전문가들과의 인맥 형성 혜택 4 : 근무 환경 ◐ 학비 대여 : 석/박사 과정 등록금 대여 후 조건 이행 시 상환 면제 연구활동비 대여 : 논문 작성, 실험비용, 장비 사용료 등 대여 지원 학회 참가비 대여 : 국내외 학회 발표 및 참석 비용 대여 지원 연구 시간 보장 : 근무시간과 학업시간의 효율적 배분 지금바로 AnalogAI Career Page( https://alog.co/careers-adp-snu-disu )를 통해 지원 하세요!...
2025-08-21
2025 COSS 차세대 반도체 MCU 응용 경진대회 운영 설명
■배경 Microcontroller Unit (MCU)는 작고 저렴하지만, 많은 기능의 하드웨어가 포함된 집적회로 (IC) 반도체입니다. AI로 대표되는 요즘의 고성능 IC에 비하면 그 구조와 기능은 매우 단순하고 성능도 낮지만, MCU는 시스템 반도체의 원리와 응용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교육 도구이고,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많은 제품에 실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MCU 내부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 (CPU)와, 특정 기능을 하드웨어로 구현한 주변 장치 (Peripheral), 그리고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스템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MCU 내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여 내부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그 하드웨어가 MCU 외부의 회로를 동작 시킵니다.따라서 MCU를 사용한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MCU의 내부 구조를 충분히 이해하고, 최적화된 하드웨어 회로를 설계하여 부품을 선정하고, 각 기능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이 경진대회는 MCU의 이해도를 높이고, MCU를 사용한 시스템 설계 능력을 배양하며, 최적화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을 추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경진대회를 진행하겠습니다. ■운영방식 가. 예선 주제의 제한은 없습니다. 각 팀이 보여주는 독창적인 작품을 설계하여 제작하면 됩니다. *인터넷에 공개된 작품들을 모방 및 복제하면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합니다. 나. 경진대회 목표는 MCU의 기능과 구조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하드웨어 설계와 low-level 소프트웨어의 작성 역량이 중요합니다. *IC, 디스플레이, 스위치, 센서 등 외부 부품을 MCU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회로가 포함되어야 하고,실무에서 MCU 응용 제품은 가격이 중요하기에 사용 핀 수, 부품 가격, 필요 메모리 크기 등 시스템 cost도 점수에 반영하겠습니다. 다. 예선은 작품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 과정, 결과를 회로도, 코드, 동작 동영상 등과 함께 설명한 보고서를 제출하여 평가합니다. *결과도 중요하지만 문제 해결 과정도 중요합니다. 라. 예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MCU는 AVR (ATmega, ATtiny), STM32, RP2040 계열로 한정하겠습니다. *MCU가 탑재된 개발 보드는 인터넷의 여러 판매업체에서 저렴한 가격 (약 2,000~4,000원)에 구입할 수 있고, 학교 수업에서 사용하였던 보드를 재사용하여도 됩니다. 잘 알려진 MCU 개발 보드로는 Arduino Nano (ATmega328), Arduino Uno (ATmega328), Bluepill (STM32F103), Blackpill (STM32F401), 라즈베리 파이 피코 (RP2040) 등이 있습니다. 위의 MCU가 탑재되었다면 이 외의 보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선에 필요한 모든 부품은 각 팀이 조달하여야 합니다. 마. ATmega MCU가 탑재된 Arduino 보드 및 개발 환경이 MCU의 관심과 접근성을 높이는데 기여 합니다. *Arduino에는 많은 라이브러리 함수들이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이미 개발되어 있어, 이를 설치하면 MCU 자체의 이해가 없어도 많은 기능을 구현하게 해 줍니다. 이것은 MCU 내부 구조의 이해도를 높이겠다는 이 경진대회의 취지와 맞지 않기에, Arduino 자체 라이브러리 (예: Serial, Wire, SPI 등) 이외의 라이브러리 사용 시 감점하여 그 사용을 제한하겠습니다. 바. 같은 기능을 구현 해도 방법에 따라 난이도가 차이가 있습니다. 사. 인터럽트 및 DMA (지원하는 MCU의 경우) 등 효율적인 구현 방식을 사용하면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아. 본선은 모든 팀이 동일한 주제를 3일에 걸쳐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모든 부품은 주최 측이 제공합니다. 본선 주제는 경선 당일에 발표하며, 본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MCU는 추후 공지하겠습니다. ■예선 평가 항목 평가는 다음 항목들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하겠습니다. 가. 독창성 나. 효용성 및 기능 (이 작품이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다. 설계 및 구현의 난이도 (시스템의 복잡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배분 등) 라. 경제성 (부품의 수, 부품 가격, 사용한 코드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의 크기) 마. 완성도 (동작 성능, 구현 방식, 최적화 정도, 예외적 경우에 대한 대비 등) 바. 보고서의 표현 및 전달성 ■예선 제출 파일 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발표 형식의 보고서 (PPT 파일) 1. 시스템의 기능, 동작 원리 및 구조의 설명 2. 시스템 구현 전략 (시스템 블록도, 프로그램 흐름, MCU 및 부품 선정, 실험 계획 등) 3. 시스템 설계 및 실험 과정 4. 단위 별 상세 설명 (해당 부분의 회로도, 코드, 사진 또는 동영상 활용) 5. 계획은 하였으나 해결하지 못한 부분의 설명 6. 실행 파일의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 사용량 캡쳐 화면 (Arduino의 경우 program storage space와 global variable memory) 7. 부품 가격표 나. 회로도 (PDF 파일) 다. Source Code 라. 동작 동영상...